AnyVocabulary
Article Language: KoreanExplanation Language: Chinese
Read Full Article

언어 학습 자료

1. 어휘 (Vocabulary)

1.1 단어 (Words)

단어설명 (한국어)예시 문장
탈북민북한에서 탈출하여 다른 나라로 온 사람A씨는 북한에서 탈북했다.
징역형감옥에 갇혀야 하는 형벌A씨에게 징역형의 집행유예를 선고했다.
집행유예법원이 형을 선고했지만, 일정 기간 동안은 구금하지 않는 것징역 2년, 자격정지 2년에 집행유예 3년을 선고했다.
국가보안법국가 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법률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군사기지 및 군사시설보호법군사 시설을 보호하는 법률군사기지 및 군사시설보호법 위반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절도타인의 물건을 훔치는 행위절도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도로교통법도로와 교통 관련 법률도로교통법 위반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버스대중교통 수단마을버스를 훔쳤다.
통일대교남북을 연결하는 다리통일대교를 건너려던 30대 탈북민
검문소경계 지역에서 차량을 검사하는 장소통일대교 남단 검문소에 다다른 A씨
바리케이드장벽이나 방해물하행 방향 바리케이드가 적게 설치돼 있는 것을 보고
초병경계 근무를 맡은 병사초소를 지키던 군부대 초병
총을 겨누다총을 맞추다총을 겨누며 제지했고
월북북한으로 돌아가다월북하기로 마음먹고 이같이 범행한 것으로 파악됐다.
고향원래 태어난 곳북한 양강도 혜산시에서 태어나
추방 명령특정 장소에서 나가라는 명령북한 내 고향 주거지에서 추방 명령을 받았다.
압록강한반도 북부의 강압록강을 건너 중국에 도착했고
고시원저렴한 임시 거주 공간서울 관악구의 한 고시원에서
월세 미납월세를 지불하지 않음월세 미납을 이유로 퇴거를 요구받자
생계비생활을 유지하기 위한 비용긴급 생계비 지원을 문의하면서
황당하다이상하거나 낯선 느낌다소 황당하기까지 한 이 사건의 동기

1.2 표현 (Phrases)

표현설명 (한국어)예시 문장
"북한으로 돌아갈래"북한으로 다시 가고 싶다는 의사를 표현"북한으로 돌아갈래"며 버스를 훔쳤다.
"징역형의 집행유예"형을 선고하지만, 실질적으로 구금되지 않는 경우징역형의 집행유예를 선고받았다.
"국가보안법 위반(잠입·탈출)미수"국가보안법을 위반했으나 성공하지 못한 경우국가보안법 위반(잠입·탈출)미수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경기 파주 통일대교를 건너려던"통일대교를 건너 북한으로 가려는 의도통일대교를 건너려던 30대 탈북민
"역주행했다"일반적인 방향과 반대로 달렸다역주행했다.
"차량 차단용 바리케이드를 그대로 들이받은"차량을 막는 장벽을 부딪친 것차량 차단용 바리케이드를 그대로 들이받은 후
"북한에 있는 가족들이 너무 보고 싶고"가족을 그리워함북한에 있는 가족들이 너무 보고 싶고
"남한에서는 일주일 동안 아무것도 못 먹는 제 모습을 보니"남한에서의 빈곤 상황을 말함남한에서는 일주일 동안 아무것도 못 먹는 제 모습을 보니
"정통성 문제"공식적 권위나 정당성을 의미정통성 문제가 있다
"고립감"사회에서 소외된 느낌고립감, 건강 악화, 경제적 어려움 등을 겪었던 것으로 조사 됐다.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다"새로운 환경에 적응하지 못함한국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고
"정치 체제에 대한 적대감"특정 정치 체제에 대한 불만대한민국의 정치 체제에 대한 적대감
"동조하기 위한 정치적 의도"특정 이념에 동의하려는 목적정치적 의도를 가지고 이 사건 범행을 한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정신적 고통"마음속의 고통정신적 고통을 겪고 있음
"사회에 정착한 북한 이탈주민"북한에서 탈출한 사람이 사회에 정착한 상태대한민국 사회에 정착한 북한 이탈주민
"통일을 준비하는 대한민국 사회"통일을 위해 준비 중인 사회통일을 준비하는 대한민국 사회

2. 문장 패턴 및 유용한 표현 (Sentence Patterns and Useful Expressions)

2.1 "A는 B했다" 구조

  • 구조: A는 B했다.
  • 의미: A가 B라는 행동을 했다.
  • 예시:
    • A씨는 작년 10월 1일 오전 0시 45분쯤 경기 파주 문산읍의 한 버스 차고지에서 마을버스를 훔쳤다.
    • A씨는 북한에 있는 가족들이 너무 보고 싶고, 북한으로 돌아가고 싶다라고 말하기도 한 것으로 조사됐다.

2.2 "B하며 A했다" 구조

  • 구조: B하며 A했다.
  • 의미: B라는 행위를 하면서 동시에 A라는 행위를 했다.
  • 예시:
    • A씨는 임진강을 횡단하는 통일대교를 건너 북한으로 넘어가겠다고 마음먹고, 훔친 버스를 몰고 통일대교를 향했다.
    • 총을 겨누며 제지했고, A씨는 결국 버스를 멈춰 세웠다.

2.3 "A는 B라고 한다" 구조

  • 구조: A는 B라고 한다.
  • 의미: A가 B라고 말했다.
  • 예시:
    • A씨는 "북한에서는 하루 이상 굶어본 적이 없는데, 남한에서는 일주일 동안 아무것도 못 먹는 제 모습을 보니 돈이 없으면 죽겠다"고 말했다.
    • A씨는 "북한에 있는 가족들이 너무 보고 싶고, 북한으로 돌아가고 싶다"고 말하기도 한 것으로 조사됐다.

2.4 "A는 B에 의해 C되었다" 구조

  • 구조: A는 B에 의해 C되었다.
  • 의미: A가 B라는 요인으로 인해 C되었다.
  • 예시:
    • A씨는 북한 양강도 혜산시에서 태어나, 지난 2011년 11월 탈북했다고 한다.
    • A씨는 한국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고 고립감, 건강 악화, 경제적 어려움 등을 겪었던 것으로 조사됐다.

2.5 "A는 B처럼 C되었다" 구조

  • 구조: A는 B처럼 C되었다.
  • 의미: A가 B와 비슷하게 C되었다.
  • 예시:
    • 재판부는 "대한민국의 일반 국민이 보기에는 다소 황당하기까지 한 이 사건의 동기나 경위에서 드러나는 사정은 피고인 개인의 문제만은 아니고 대한민국 사회에 정착한 북한이탈주민이 처한 현실을 일부 보여주는 것으로, 통일을 준비하는 대한민국 사회가 풀어나가야 할 문제로 이해된다"고 밝혔다.

3. 문법 포인트 (Grammar Points)

3.1 과거 시제 (Past Tense)

  • 구조: 동사 + -았/었/였
  • 의미: 과거의 행위나 상태를 나타냄
  • 예시:
    • A씨는 작년 10월 1일 오전 0시 45분쯤 경기 파주 문산읍의 한 버스 차고지에서 마을버스를 훔쳤다.
    • A씨는 북한에 있는 가족들이 너무 보고 싶고, 북한으로 돌아가고 싶다라고 말하기도 한 것으로 조사됐다.

3.2 수사 (Numbers)

  • 구조: 숫자 + 개, 명, 년 등
  • 의미: 개수나 기간을 나타냄
  • 예시:
    • 징역 2년, 자격정지 2년에 집행유예 3년을 선고했다.
    • 2011년 11월 탈북했다.

3.3 목적격 조사 (을/를)

  • 구조: 목적격 조사 + 명사
  • 의미: 동작의 대상을 나타냄
  • 예시:
    • 마을버스를 훔쳤다.
    • 총을 겨누며 제지했고

3.4 부사어 (Adverbial Phrases)

  • 구조: 부사어 + 동사
  • 의미: 시간, 방법, 위치 등을 나타냄
  • 예시:
    • 작년 10월 1일 오전 0시 45분쯤
    • 통일대교를 건너려던

3.5 분위어 (Tense Marker)

  • 구조: 동사 + -고 있다, -고 있었따, -고 있었다
  • 의미: 현재 또는 과거의 상태를 나타냄
  • 예시:
    • A씨는 한국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고 고립감, 건강 악화, 경제적 어려움 등을 겪었던 것으로 조사됐다.
    • A씨는 북한에 있는 가족들이 너무 보고 싶고, 북한으로 돌아가고 싶다라고 말하기도 한 것으로 조사됐다.

4. 추가 예시 (Additional Examples)

4.1 "A는 B했다" 구조

  • A는 도둑맞은 자동차를 운전해서 시내로 달렸다.
  • 나는 친구를 만나기 위해 지하철을 타고 출근했다.

4.2 "B하며 A했다" 구조

  • 그는 걷으며 노래를 부르고 있었다.
  • 그녀는 음식을 먹으며 TV를 보았다.

4.3 "A는 B라고 한다" 구조

  • 그는 "오늘은 힘들었다"고 말했다.
  • 저는 "좋은 날이 될 것 같다"고 생각한다.

4.4 "A는 B에 의해 C되었다" 구조

  • 그는 아프리카에서 태어났다.
  • 그녀는 큰 실패를 경험했다.

4.5 "A는 B처럼 C되었다" 구조

  • 그는 친구처럼 잘 웃었다.
  • 그녀는 선생님처럼 친절하게 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