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yVocabulary
Article Language: KoreanExplanation Language: Chinese
Read Full Article

언어 학습 자료

1. 단어 및 표현 (Vocabulary)

1.1 단어

단어의미예시 문장설명
친근가까운 느낌을 주는, 따뜻한“한국과 역사-문화 닮아 친근”"친근하다"는 감정적 연결이나 익숙함을 나타냄.
학원교육 목적의 장소“학원으로 몰려온다”"학원"은 교육을 위한 비공식적인 교육 시설로 사용됨.
문학창작된 글, 작가의 작품“대만 문학에 자주 등장하는 전통의 급속한 붕괴”"문학"은 창의성과 예술성을 지닌 언어 작품을 말함.
번역한 언어에서 다른 언어로 옮기는 것“번역 출간”"번역"은 문화 교류에 중요한 역할을 함.
상상력상상하는 능력“억압되지 않은 상상력”"상상력"은 창의성과 예술적 표현에 필수적임.
이산떨어져 지내는 일“이산 경험”"이산"은 역사적, 사회적 배경에서 자주 등장함.
급격한빠르게 변하는“급격한 산업화”"급격한"은 변화의 속도를 강조함.
편견사전에 정해진 생각“편견 없이”"편견"은 인식의 차이를 나타냄.
확장넓어지다, 증가하다“교류가 더욱 확장될 것으로 보인다”"확장"은 관계나 영향력의 증가를 나타냄.

1.2 표현

표현의미예시 문장설명
무거운 책가방무거운 가방을 메고 다니는 것“무거운 책가방을 메고 학원으로 몰려온다”아이들의 부담을 나타내는 표현.
끝도 없이 문제를 푼다계속해서 문제를 풀어가는 상태“끝도 없이 문제를 푼다”반복적인 학습을 나타내는 표현.
명문 사립중학교유명한 사립 중학교“명문 사립중학교에 들어가기 위해”명문이라는 표현은 권위와 우수성을 나타냄.
사회에 큰 파장을 일으켰다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드라마화돼 사회에 큰 파장을 일으켰다”"파장"은 사회적 반응을 나타냄.
자주 등장하는자주 나타나는“자주 등장하는 전통의 급속한 붕괴”"등장"은 주제나 현상이 반복적으로 나타남을 나타냄.
결이 맞는 느낌서로 어울리거나 유사한 느낌“결이 맞는 느낌”"결이 맞다"는 감정적 또는 사고 방식의 일치를 나타냄.
교류가 확장될 것으로 보인다교류가 더 많아질 것으로 기대됨“교류가 더욱 확장될 것으로 보인다”"확장될 것으로 보인다"는 미래에 대한 예측 표현.

2. 문장 패턴 및 유용한 표현 (Sentence Patterns & Useful Expressions)

2.1 문장 패턴 1: ~에 쓴 작가의 말 일부다

  • 구조: [작품]에 쓴 [작가]의 말 일부다
  • 예시: “‘네 아이는 네 아이가 아니다’(마르코폴로)에 쓴 작가의 말 일부다”
  • 설명: 특정 작품에서 작가가 쓴 내용을 소개할 때 사용하는 표현.
  • 추가 예시:
    • “그 소설에 쓴 저자의 말 일부다.”
    • “이 책에 쓴 작가의 의견은 매우 중요하다.”

2.2 문장 패턴 2: 에 나온 대사(‘’)를 즐겨 인용한다

  • 구조: [작품]에 나온 [대사]를 즐겨 인용한다
  • 예시: “한국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에 나온 대사(‘한국 아이들의 적은 학교, 학원 그리고 부모다.’)를 즐겨 인용한다”
  • 설명: 특정 작품에서 나온 대사를 자주 인용하는 것을 나타냄.
  • 추가 예시:
    • “영화 ‘인셉션’에 나온 대사를 자주 인용한다.”
    • “이 책에 나온 문장을 좋아해서 자주 인용한다.”

2.3 문장 패턴 3: ~을 계기로 ~ 분위기다

  • 구조: [사건]을 계기로 [상황] 분위기다
  • 예시: “서울국제도서전 주빈으로 대만을 초청한 것을 계기로 국내 출판시장에서 점차 영향력을 넓혀 가는 분위기다”
  • 설명: 어떤 사건이 시작되었음을 바탕으로 분위기가 변화하고 있음을 나타냄.
  • 추가 예시:
    • “새로운 정책을 발표한 것을 계기로 경제에 긍정적인 분위기다.”
    • “새로운 기술이 등장한 것을 계기로 산업에 변화의 분위기다.”

2.4 문장 패턴 4: ~으로부터 ~ 이주한

  • 구조: [지역]로부터 [지역] 이주한
  • 예시: “홍콩 우산 혁명 이후 대만으로 이주한 찬와이(陳慧) 작가”
  • 설명: 특정 지역에서 다른 지역으로 이주한 사람을 나타냄.
  • 추가 예시:
    • “일본에서 한국으로 이주한 사람들은 많은 문화적 영향을 받았다.”
    • “베트남에서 중국으로 이주한 작가들이 있다.”

2.5 문장 패턴 5: ~으로부터 ~ 이주한

  • 구조: [지역]로부터 [지역] 이주한
  • 예시: “홍콩 우산 혁명 이후 대만으로 이주한 찬와이(陳慧) 작가”
  • 설명: 특정 지역에서 다른 지역으로 이주한 사람을 나타냄.
  • 추가 예시:
    • “일본에서 한국으로 이주한 사람들은 많은 문화적 영향을 받았다.”
    • “베트남에서 중국으로 이주한 작가들이 있다.”

3. 문법 포인트 (Grammar Points)

3.1 ~에 쓴

  • 구조: [작품]에 쓴 [작가]의 말
  • 설명: 어떤 작품에 작성된 내용을 나타냄.
  • 예시:
    • “이 책에 쓴 이야기는 매우 흥미롭다.”
    • “그 소설에 쓴 대사는 많은 사람에게 영감을 주었다.”

3.2 ~에 나온 대사

  • 구조: [작품]에 나온 [대사]
  • 설명: 특정 작품 내에서 나온 대사를 나타냄.
  • 예시:
    • “영화에 나온 대사는 모두 기억하고 있다.”
    • “그 책에 나온 문장은 매우 유명하다.”

3.3 ~을 계기로

  • 구조: [사건]을 계기로 [상황]
  • 설명: 특정 사건이 시작되거나 변화의 계기가 되었음을 나타냄.
  • 예시:
    • “새로운 프로젝트를 시작한 것을 계기로 회사의 분위기가 바뀌었다.”
    • “최근 기술 발전을 계기로 산업이 성장하고 있다.”

3.4 ~으로부터 ~ 이주한

  • 구조: [지역]로부터 [지역] 이주한
  • 설명: 특정 지역에서 다른 지역으로 이주한 사람을 나타냄.
  • 예시:
    • “일본에서 한국으로 이주한 사람들은 새로운 문화를 받아들였다.”
    • “미국에서 중국으로 이주한 작가들이 있다.”

4. 원본 예시 문장 (Original Examples)

  • “주말이면 여덟아홉 살밖에 안 된 아이들이 무거운 책가방을 메고 학원으로 몰려온다.”
  • “몇 년 뒤에 명문 사립중학교에 들어가기 위해 이 아이들은 종일 학원에 앉아 끝도 없이 문제를 푼다.”
  •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에 나온 대사(‘한국 아이들의 적은 학교, 학원 그리고 부모다.’)를 즐겨 인용한다”
  • “한국과 대만의 출판·문학 교류는 앞으로 더 활발해질 전망이다.”
  • “대만 문학은 중국과 비교해 확실히 친숙하고 결이 맞는 느낌”